본문 바로가기
음식

떡국에 진간장을 써도 될까? 국간장과의 차이, 선택 기준 정리

by tminfo1-find-blog 2025. 4. 9.
반응형

떡국엔 꼭 국간장만 써야 할까요? 진간장을 넣은 떡국도 실제로 존재합니다. 간장의 종류에 따른 떡국 국물 차이를 알려드립니다.

맑은 맛을 원하면 국간장, 깊은 풍미는 진간장 – 떡국도 기준이 있습니다

떡국에 진간장을 써도 될까? 국간장과의 차이, 선택 기준 정리

 

설날 아침, 떡국을 끓이려다 간장을 꺼내며 고민한 적 있으신가요? ‘떡국엔 무조건 국간장이지!’라는 말도 많지만, 의외로 진간장을 활용하는 떡국 레시피도 적지 않게 존재합니다. 이 글에서는 떡국에 들어가는 간장, 국간장과 진간장의 차이, 어떤 경우에 어떤 간장을 선택하면 좋은지 실제 예시와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. 👉 관련글: ‘진간장이 어울리는 국물요리’ 글도 참고해 보세요 →

간장 종류 떡국에 썼을 때 특징 추천 상황
국간장 맑고 담백한 국물, 색이 연함 정통 떡국, 깔끔한 스타일 선호 시
진간장 색이 조금 진해지고 풍미 강화 사골육수, 감칠맛 강조 레시피에

1. 국간장을 사용한 맑고 정통한 떡국 (2인분)

- 재료: 떡국떡 2컵, 국간장 1큰술, 다진 마늘 1작은술, 달걀 1개, 대파 약간, 소금 약간
- 육수: 멸치육수 또는 사골육수 600ml

  • 육수를 끓인 후 떡국떡을 넣고 중불에서 끓입니다.
  • 국간장과 다진 마늘로 간을 맞추고, 간이 부족하면 소금으로 조절합니다.
  • 풀어놓은 계란을 부어 저은 뒤 대파를 넣고 마무리합니다.

→ 깔끔하고 전통적인 떡국 스타일. 떡 본연의 맛이 잘 살아납니다.

2. 진간장을 사용한 감칠맛 있는 떡국 (2인분)

- 재료: 떡국떡 2컵, 진간장 1작은술, 국간장 1작은술, 다진 마늘 1작은술, 달걀 1개, 김 약간
- 육수: 사골육수 또는 소고기 육수 600ml

  • 진한 육수에 떡국떡을 넣고 끓입니다.
  • 진간장과 국간장을 소량 섞어 감칠맛과 색을 살려줍니다.
  • 계란을 풀어 넣고 저어준 뒤, 김 고명을 올려 마무리합니다.

→ 사골 기반의 국물에 어울리며, 더 깊고 진한 맛을 즐기고 싶을 때 적합한 스타일입니다.

✔ 떡국을 맑고 깔끔하게 먹고 싶다면 국간장을 기본으로, ✔ 감칠맛과 깊은 풍미를 더하고 싶다면 진간장을 1작은술 정도만 추가해 보세요.

✔ 진간장은 색이 진하므로 너무 많이 넣으면 떡국의 맑은 이미지를 해칠 수 있습니다. 

Q. 떡국에 진간장만 사용해도 괜찮을까요?

진간장만 사용할 경우 국물 색이 어두워지고 맛도 다소 짙어질 수 있습니다. 맑고 전통적인 떡국을 원한다면 국간장을 기본으로, 진간장은 감칠맛을 더하는 보조 역할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
Q. 국간장이 없을 때 진간장으로 대체할 수 있나요?

가능합니다. 진간장을 아주 소량(1작은술 내외) 사용하고, 간은 소금이나 액젓 등으로 조절하면 깔끔한 맛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단, 색이 진해지는 점은 고려해야 합니다.

떡국에 사용하는 간장은 요리의 스타일과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전통적인 맑은 국물을 원하면 국간장을, 깊은 맛과 감칠맛을 더하고 싶다면 진간장을 소량 더해보세요. 중요한 건 균형 잡힌 간으로 떡과 국물의 조화를 살리는 것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