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음식

간장 라벨 읽는 법: 좋은 간장은 뒷면에 있다

by tminfo1-find-blog 2025. 3. 29.
반응형
 

진간장, 양조간장, 국간장… 겉포장만 보고 고르셨다면, 이젠 뒷면 라벨로 정확히 구별해 보세요.

이름이 아니라 라벨이 말해줍니다. 좋은 간장을 고르는 첫 번째 기준

 

간장 라벨 읽는 법: 좋은 간장은 뒷면에 있다

마트에서 간장을 고를 때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건 앞면에 적힌 이름입니다. '진간장', '양조간장', '프리미엄' 같은 단어들이 믿음을 주지만, 이름만으로는 간장의 실제 종류를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. 진짜 정보는 포장지 뒷면, 바로 라벨에 적힌 식품유형, 원재료명, 총 질소(TN) 수치입니다. 이 세 가지 항목만 보면, 간장의 제조 방식과 품질을 충분히 판단할 수 있어요. 이 글에서는 라벨을 읽는 방법을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. 겉이 아닌 속을 보고 간장을 고르는 기준을 함께 배워보세요. 👉 간장 종류에 대한 개념부터 알고 싶다면 간장 종류 총정리 글 보기 →

구분 중요 체크 포인트
식품유형 양조간장 / 혼합간장 / 한식간장 확인
원재료명 산분해간장 포함 여부, 양조 비율 확인
총 질소(TN) 감칠맛과 품질을 판단하는 기준 수치

1. '식품유형' 항목을 먼저 보세요

간장의 포장 뒷면에는 반드시 '식품유형'이라는 항목이 표기되어 있습니다. 이 정보는 간장의 제조 방식과 성격을 가장 정확하게 알려주는 기준입니다. '진간장'이라는 제품명만으로는 양조간장인지, 혼합간장인지 알 수 없습니다. '식품유형'을 통해만 간장의 정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요.

  • 양조간장 – 콩과 밀을 발효시켜 만든 간장. 깊고 자연스러운 맛이 특징
  • 혼합간장 – 양조간장에 산분 해간장을 혼합. 맛은 강하지만 향이 짧음
  • 한식간장 – 전통 방식으로 담근 메주 간장. 국간장으로도 불림

2. '원재료명' 항목에서 성분 비율을 확인하세요

혼합간장이라면, 원재료명에 양조간장과 산분해간장의 비율이 표시됩니다. 이 성분 구성을 통해 그 간장이 어떤 맛과 특성을 가졌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.

예시: 양조간장 70% (탈지대두, 밀, 정제수), 산분해간장 30% (탈지대두 가수분해물)

양조 비율이 높을수록 자연 발효 특유의 부드러운 맛이 살아 있고, 산분해 비율이 높을수록 강한 맛과 진한 색이 특징입니다. 민감한 분들은 '양조간장 100%' 제품을 고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
3. 총 질소(TN) 수치는 감칠맛과 품질의 기준

총 질소 함량(TN)은 간장에 들어 있는 단백질 함량을 수치로 표현한 것입니다. 수치가 높을수록 발효가 잘 되었고, 감칠맛이 깊은 간장이라는 뜻입니다.

등급 TN 수치 기준
특급 간장 1.5 이상
고급 간장 1.3 이상
보통 간장 1.0 이상

라벨에 수치가 없을 경우, 제품 상세페이지나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 비슷해 보여도 TN 수치에 따라 품질 차이가 꽤 크기 때문에 참고하면 유용합니다.

Q. 진간장은 무조건 양조간장인가요?

아닙니다. 진간장은 제품명일 뿐, 실제 간장의 제조 방식과는 무관합니다. 라벨 뒷면의 '식품유형'을 꼭 확인해야 양조간장인지, 혼합간장인지 알 수 있습니다.

 

Q. 산분해간장이 들어간 혼합간장은 피해야 하나요?

무조건 피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. 혼합간장은 감칠맛이 강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, 자연 발효의 깊은 풍미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. 성분표를 확인해 본인 취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

 

간장을 고를 때, 포장 전면의 이름보다 뒷면의 라벨 정보가 더 중요합니다. '식품유형'을 통해 제조 방식, '원재료명'으로 성분 비율, 'TN 수치'로 품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라벨을 읽는 습관 하나만으로도 더 건강하고 깔끔한 식탁을 만들 수 있습니다.